23년 하반기, 24년 상반기 입주물량, 임대차3법의 문제점, 기타 등등
지난번 글에서 여러가지 해석들을 하시고욕도 먹었는데제가 글을 잘 못써서이겠죠?그냥 각자의 해석과 ...
blog.naver.com
임대차3법 2+2를 바로 시행하면
21년 입주가뭄과 거쳐서 서울의 전월세가가 엄청 오를것. 22년도 오른채로 유지되거나 더 오를수도 있다.
2+2와 공급부족이 겹치면 급등을 하고
그러다 풍부한 주택공급이 이루어지면 폭락한다
23년 하반기, 24년은 서울 입주물량 폭탄.
23년 하반기부터 난리날수도. 슈퍼역전세난올수도.
14억 전세줬던걸 다음 세입자는 8억에 들어온다면? 근데 대출은 쉽지않은 상황.
향후 1년안에 입주하는 물량은 대체로 정확하고, 2년안은 좀 덜 정확하고 3-4년후 입주물량은 사실 참고하면 안된다. 23-24년을 서울 공급 절벽으로 오해하면 안된다.
3-4년후 임주물량은 재개발/재건축 기준으로 봐야한다. 요즘 아파트 공사기간은 착공기준 36개월 전후. 3년후 입주물량은 착공과 공시기간으로 산정가능.
4년내 입주물량은 현재 이주완료, 철거상태면 4년내에 입주.
서울 입주물량은 평균적으로 아파트만 따질때 연 3만 정도. 18년이 많아서 3.5~3.6만 정도. 19년이 더 많아서 4만이 약간 안됐다. 그 물량중 상당부분이 18년말~19년 1분기에 몰렸어서 해당 시기에 엄청난 전세가 약세장이 왔었다. 연도별로 보는것보다 특정시기에 집중도가 일시적인 급락을 더 가져온다. 해당시기는 4개월간 아파트단지만 2만세대라는 엄청난 물량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참조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대차3법 (0) | 2020.08.01 |
---|---|
임대주택은 가난한 사람만 산다는 편견 없애기 위한 제도? (0) | 2020.07.31 |
[공유]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정의, 계산 정보 (0) | 2020.07.18 |
[공유] 정부가 집값을 안잡는 이유 주요내용 메모 (0) | 2020.07.18 |
[공유] 미국에서 7월 위기설이 나오는 이유? (0) | 2020.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