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선효과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부룡 - 2020.05.11 분양권 전매제한 강화와 법인규제 발표 영향 youtu.be/_h1wVJ54NvQ 1. 풍선효과 제한지역 :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지방광역시 →따라서 규제가 미치지 않는 수도권 자연보전권역, 지방 중소도시로 옮겨갈 가능성 기존 분양권은? 투기/조정지역 : 소급적용될 수 있음 해당 외 지역 : 전매가능 유지 2. 청약 시장의 양극화 투자자에서실수요자로 전환 -> 비선호지역의 미분양 발생 가능성 높아짐 3. 기축 아파트로의 관심 전환 가능성 수익이 날만한 곳을 찾는 심리는 투자자 및 청약대기자 동일 → 소액 투자가 가능한 기축 아파트로의 전환 가능성도 존재 ** 투자패턴 A급지 규제 → B급지 규제 → C급지 C급지까지 규제되면 다르투자대상을 찾아나선다 구축 전세 갭투자 → 분양권 투자 → 재건축 투자 → 재개발 투자 이제 신축이 될만한.. 분양권 전매금지 이후 시장은… 입주권·지방 대도시 풍선효과 '우려' 하지만 오히려 입주권으로 투자자가 몰려들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조합원에게 주어지는 입주권은 기존 건물의 평가액과 납부 청산금, 프리미엄 등이 모두 포함돼 가격이 책정된다. 청약이 아닌 기존 주택 매수처럼 매입 비용을 짧은 시일 내에 내야하는 부담이 있지만, 총 비용을 기준으로 보면 분양권보다 다소 저렴한 경우가 많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또 투자수요가 지방 중심지로 몰릴 거라는 예상도 한다. 이 밖에 분양권 거래보다는 서울의 ‘똘똘한 한채’ 매입에 집중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분양권 전매금지 이후 시장은… 입주권·지방 대도시 풍선효과 '우려' 수도권 전역과 지방 광역시에서 아파트 분양권을 사고파는 행위가 사실상 금지된 결과로 지방 일부 대도시로 투자자가 몰려들고, 규제를 피한 입주권 .. biz.ch..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