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전망 (4) 썸네일형 리스트형 [공유] 7.10 대책 영향 전망 다주택자에 종부세·양도세 폭탄···정부, 딱 1년 피할 시간 줬다 우선 다주택자에 적용되는 종합부동산세(종부세) 최고세율이 현행 3.2%에서 6%로 2배 가까이 올라간다. 보유 기간 1년 미만 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양도세)는 40%에서 70%로 상향 조정된다. 보유 기간이 2년 미만인 경우에도 양도세율이 60%로 인상된다. 취득세도 올라간다. 2주택이면 8%, 3주택 이상이거나 법인이면 12%를 취득세로 내야 한다. 현행 취득세는 1~4%다. 다주택자와 단타 매매를 겨냥한 ‘세금 폭탄’이다. 대신 폭탄을 터뜨리기 전 정부는 퇴로는 열어줬다. 적용 시점을 당장이 아닌 내년 6월 1일로 잡았다. 앞으로 1년 안에 집을 처분하란 얘기다. 임대차 3법 발의 완료…국회, 이달 중 속전속결 처리 '속도전' 전월세.. 아파트 매매거래 급랭…‘전셋값 폭등’ 조짐 (20.06.01) 폭풍전야의 느낌이랄까. 코로나로 인한 경제위기가 뒤통수를 치지 않는다면 전세가상승으로 인해 '더러워서 집산다' 라는 실수요자들의 추격이 시작될 수 있을 것 같다. 9억이하 중저가주택이 오르고, 그럼 그걸 판 사람들은 상위급지로 갈아타기 하려나? 매매거래 시장의 이 같은 급랭으로 인해 전세 가격 폭등 우려도 커지고 있다. 전세 수요의 급증은 곧 가격 폭등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전세시장이 가격 상승으로 전환되고 이 같은 시장 분위기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분위기에서 정부는 임대차 시장 규제를 조만간 추진할 계획을 공개했다. 정부는 전·월세 신고제를 시작으로 계약갱신청구권제, 전·월세 상한제 등 임대차 규제를 추진할 뜻을 공개했다. 지난 1989년 정부가 임대차계약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연장했을.. 코로나 이후 주택시장 전망 - 집값하락 기대하기 어려워 (2020.05) ** 가격 구간대별 전망 15억 원 이상 주택은 살짝 조정이 됐고, 15억 원 이하는 상승했다. 거의 만난 거다. 그렇게 되면 15억 원 이상의 주택 가격이 올라간다. 가치가 다른데 가격이 같은 것을 시장은 용납할 수 없기 때문이다. 15억 원 이상 구간에서 입지가 좋은 곳들, 실수요가 많은 곳은 7월부터 상승 움직임을 보이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 수도권 시장 전망 수원이 12억 원이면 서울에서 10억 원이 안 되는 곳은 상대적으로 저렴해 보이는 거다. 저평가됐다고 판단할 거다. 결국엔 서울은 움직일 것 같다. 다만 서울이 더 올라가기 전에는 수원·용인·성남 등 경기권에서 많이 오른 지역은 관망할 것 같다. ** 공급대책 평가 하지만 8천 세대가 많아 보이긴 해도 서울 잠재 수요를 따져보면 한 번에.. 부동산 시장 흐름 파악하기 - KB부동산시장 리뷰(2020.4월호) / KB 선도아파트 매달 KB에서 발표하는 부동산 리포트를 받아볼 수 있는 곳 한국부동산개발협회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자료실 아름답고 쾌적하며 편리한 생활공간 · 생산공간 창조의 책임완수 www.koda.or.kr 부동산 시장 모니터링하기에 좋은 자료다. 하지만 이 자료에서 말하는 걸 100% 믿고 따르라는 것은 아니다. 전월 데이터 기반으로 하는 분석으로 '현상'을 파악하기엔 좋은 자료지만, 향후 전망에 대한 내용에서 오른다/내린다 라고 전망하는 것을 무조건 맹신하기보다 항상 상승론자와 하락론자는 공존하더라 말중에 어떤것이 더 맞는지 '판단'하기 위해 이 자료 외에도, 여러가지를 참고하며 지속적인 공부가 필요하다. 지난달에 내렸으니 다음달도 내릴거라고 생각하면 안된다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_KB부동산시장 리뷰(20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