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서울 '6억 이하·강북' 부동산 '꿈틀'...시장 불안 조짐 (20.05.31)

그동안 신축위주의 시장이었다면 대출이 안나오고, 자금출처도 밝혀야하는 현 상황에서는 3-40대가 접근할수 있는게 중저가 주택들이니, 구축들도 오르고 있다. 비강남권 9억이하 중저가 주택, 그것보다 더 저렴하게는 외곽지역 6억이하 아파트들. 전세가 상승으로 인해 지금이라도 집을 매수하려고 하는 실수요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권 교수는 이어 "부동산에 몰린 유동자금이 자금 출처 의무가 없는 6억원 이하 아파트로 수요가 이동하는 경향이 이미 나타나고 있다"며 "향후 서울 외곽지역과 재건축·재개발 가능성이 있는 6억원 이하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집값이 오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 '6억 이하·강북' 부동산 '꿈틀'...시장 불안 조짐

· [파이낸셜뉴스] 서울 6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 시세가 상승 전환했다. 대출 규제와 보유세 부담, 자금 출처 제출 등 초고가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 정부 규제 탓에 '풍선효과'가 나타난 모양새�

news.naver.com

 

12·16대책 5개월..강남 아파트 2%로 잡혔는데 성북구 10% 상승
서울 평균 5% 올라..전용 84㎡ 평균 매매가 9억원 육박

정부가 12·16대책에서 15억원 이상 아파트에 대한 대출을 전면 금지하면서 초고가 아파트가 몰린 강남권 아파트값은 오름세가 꺾였지만, 비강남권의 9억원 이하 중저가 주택은 풍선효과로 가격이 더 오른 것으로 분석된다.

 

12·16대책 5개월..강남 아파트 2%로 잡혔는데 성북구 10% 상승 | Daum 부동산

12·16대책 5개월..강남 아파트 2%로 잡혔는데 성북구 10% 상승 서울 평균 5% 올라..전용 84㎡ 평균 매매가 9억원 육박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지난해 12·16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 이후 5개�

realestate.daum.net

강남구의 하락 둔화
강북에서는 광진, 노원, 강북구 구축 움직임 활발
구로, 금천 6억원 이하 주택 거래들이 상대적으로 많았음

6월부터는 보유세 이슈가 사라지고
하반기 이사철 수요가 서서히 움직이는 시기.

 

5월 4주차 시황) 개발호재 지역들이 시세를 주도하는 가운데, 눈에 띠는 하락지역은 이제 없다!

5월 4주차 아파트 시세 변동률입니다.상승률 1위 지역은 교통 호재가 몰렸던 남양주시입니다.​2위와 6위도...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