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서울 집값 반등, 이 지표로 이미 예고" [집코노미TV]

 

 

[집코노미TV] "서울 집값 반등, 이 지표로 이미 예고"

▶전형진 기자 자 이럴 때 이분을 모셔야 됩니다. 이상우 인베이드투자자문 대표 모셨습니다. 한국감정원 통계 기준으로 서울 집값이 하락을 끝내고 보합으로 전환을 했어요. 이게 오늘자 저희

news.naver.com

일부내용 발췌

 

▷이상우 대표
6월 1일 기준으로 재산세 기준일이 되니까. 매도하실 분들이 6월 이후에 굳이 팔 필요 없거든요. 그렇게 되면 언제나 상반기는 약하고, 하반기는 좋은 그런 모습이 매년 반복되는데. 올해 같은 경우엔 특이하게도 그런 2주택자 여러분들이 6월까지, 실제로 5월까지 많이 파신 것 더하기, 코로나 더하기, 그런 여러 가지 와중에 조금 저렴했던 집들이 상당히 많이 올라가게 되면서. 사실 지표로는 5월 말까지도 한국감정원도 KB은행도 주택가격 지표는 플러스예요. 그걸 잊으시면 안 되겠습니다.

▶전형진 기자
강남이 아니라 외곽이 먼저 치고나갔어요. 작년에 말씀하셨던 노·도·강, 금·관·구 여기가 먼저 양전을 했는데 이건 KB와 감정원에서 공통으로 나오고 있거든요

▷이상우 대표
싸니까요. 대출규제가 곧바로 걸려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12·16 대책으로 더 복잡해졌죠. 예전 같으면 15억원 이상만 걱정했는데 이젠 9억원 이상도 대출이 여의치 못하게 되니까 점점 조금 더 편한 투자 대상으로 많은 분들이 옮겨가기 시작하는 것이고, 그런 와중에 노·도·강, 금·관·구 같은 경우는 호재도 발현을 했죠.

작년 같은 경우 신안산선이라거나, 동북선은 착공은 안 했지만 기공했던 동북선이라거나. 이런 것들 영향이 동시에 들어가는 겁니다. 호재에다가 조금 저렴했던 것, 이런 두 가지가 맞물렸던 게 서울 시장에선 노·도·강, 금·관·구.

▶전형진 기자
그럼 6월 이후론 이게 어떻게 영향이 있을까요. 외곽에서 시작한 상승세가 점점 안쪽으로 들어오는?

▷이상우 대표
작년 여름하고 비슷할 것 같아요. 작년도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상반기에 약간 저조했다가 하반기에 올라가기 시작했을 때 그때 모습이 결국 강남부터 시작이었거든요. 남들 오를 때 못 오른 게 큰 거죠. 올해도 특히 코로나 겪고 다주택자 매도물량 겪을 때 조금 싸게 나오는 물량들이 도대체 어디에 있었느냐 생각해보면 대부분 강남에 많이 나왔었거든요. 그런 것들이 실거래가를 약간 낮춰주면서 하락한 듯 보였지만 그런 것들은 말 그대로, 그런 식으로 나올 수밖에 없었던 매물들이었고, 그런 매물이 처리되는 순간부터는, 매물도 나올 것도 다 나왔는데 그 다음부터 움직이는 건 강남이 주도할 가능성이 크죠.

강남 외에도 15억 주택이 상당히 많이 몰려 있는 지역들. 저희가 올해 주목해봐야 한다고 말씀드린 게 신길, 고덕인데. 이런 지역들, 마포, 성동, 이런 지역들이 같이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전형진 기자
신길과 고덕에 새 아파트 입주가 많기 때문에 올해 가장 주목해봐야 할 시장이다, 라고 작년 인터뷰에 말씀하셨는데.

▷이상우 대표
고덕 같은 경우는 사실 지금도 살금살금 가고 있어서. 요즘 호가 나오는 걸 보시면 15억 미만에 나오는 경우는 잘 없는 것 같아요. 전용 84㎡ 기준으로 말씀드리는 건데. 15억 위에서는 결국 똑같은 조건이 되니까 그때부턴 알아서 움직일 것 같고요. 고덕 입주도 올해 상반기 거의 마무리 됐기 때문에 고덕은 현재 진행형인 것 같습니다. 신길은 올해 말쯤 돼야 본격적으로 될 것 같은데, 올해 신길이 4개 단지 입주가 있거든요. 상반기 2개, 하반기 2개. 근데 하반기 2개가 약간 뒤쪽에 몰려 있어서 기회는 조금 더 줄 지역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전형진 기자
삼성동이나 잠실 일대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고 했는데, 그럼 그만큼 여기가 앞으로 오를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 반대로 말하면. 그런 의미잖아요.

▷이상우 대표
약간 선생님께서 수업시간에 기출문제 알려주는 느낌 아닐까요